1994~2022...
버디
무작위 순서

1994년 발행한 『초동회 소식지』 이후, 한국의 퀴어(비연속/연속)간행물의 문장을 수집하고 연결하는 공간입니다. 발견한 문장을 보내주세요.

결국 포즈와 의상을 조정하기 위해 그녀를 불렀다. 근심스런 우리들의 질문과는 달리 역시 그녀의 판단은 현실적이었다. “나 지금 갈아입을 옷도 없어. 어차피 〈버디〉도 모델료 줄 없잖아. 의상 살 도 없는데 그냥 벗고 하자. 웃옷만 벗으면 되니까. 창간호는 강한 인상을 줘야 하잖아?” (쿵~~ 모델옷 벗기기가 어렵다고 누가 그랬던가? 가난이 때론 좋은 효과를 줄 때도 있군.)

—『버디』 12호, 「포즈 정하기 – 의상 살 도 없는데 그냥 벗고 하자!」, 1999

솔직히 창간호 모델로 기용하면서 내심 망설였다. 소위 역사적인 우리나라 최초의 동성애 전문지의 첫 호에 양성애자를 쓴다는 것에 독자들이 실망하지 않을까 걱정도 되고. 그러나 그녀가 양성애자라고 해서 레즈비언이 아니라고 말하기도 역시 어려웠다. 그녀가 나와 달리 남자에게도 연정을 느낀다지만 나와 똑같이 여자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마음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성애자 인권운동에 누구보다도 열심이다. 그녀의 양성애 성향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그녀를 레즈비언이라는 테두리에서 제외시켜야 할 아무런 이유도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버디』 12호, 「내가 바이라는데 왜 놀라지?」, 한채윤, 1999

전국적으로 153이라는 서비스가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다른 지역 153에도 들어가는 거예요. “저는 광주에 사는 누구누구인데요, 대전에도 많이 계시군요” 하면서 메시지를 남기는 거죠. 그렇게 교류시작되었고 각 지역 대표들끼리 모여서 “우리 전국 MT도 하게 됐죠. 그때가 아마 1997년 12월 달쯤이었을 거예요”

—『버디』 24호, 「빛동인광주 153전화사서함 모임역사」, 〈버디〉편집위원, 2003

세상 모든 것 다 없어도 좋으니 네가 내 곁에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 한 여성이 한 여성에게 절절하게 드러낸 고백 아닌가

—『버디』 24호, 「아! 눈물 나는 레즈비언 사극, 대장금」, 한채윤, 2003

레즈비언 섬을 발견하다. 암흑 같던 어둠을 뛰쳐나와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난 듯이 자신스스로가 열어가고자 방황해야 했던 수많은 날들⋯ 한국 최초 동성애 전문 잡지 버디세상에 나오면서, 어둠의 빛처럼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날 수 있을 거란 희망으로 문을 두드린 레즈비언 모임 안전지대⋯ 새내기-신입-여러분이 많은 상담과 회원가입과 모임에 대한 문의를 해옵니다. 벅찬 감동과 반가움 이전에 빈 구석을 메워나가는 게 아니라 자신의 자리를 찾아나갈 정도로의 모임의 내용과 허전함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안전지대』 9호, 「글: 회장 블랙」, 1998

알립니다! 매월 정모 때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던 [버디]를 다음 정모(9월)때부터 제공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 일은 8월 정모 때 회원들의 과반수 이상 찬성으로 결정된 일이며, 이번 버디 배포 중지의 취지는 첫째, 회원들이 버디일반 서점에서 직접 삼으로써 조금씩 커밍을 하는 기회를 늘리고자 함이요, 둘째, 열악한 안전지대의 재정을 마련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매월 버디 대금으로 나갔던 은 매월 (정모 참석자수) X ₩4,000으로 계산하여 안전지대미래(사무실까지는 아니더라도⋯)를 위한 통장을 따로 만들어 적립해 나가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여러분의 이해와 도움을 바랍니다.

—『안전지대』 9호, 「7월 정모 및 9월 M.T 지출 내역, 총무부」, 1998

#힘망찬 소식 하나. 풀뿌리 민주주의를 지향하며 각자의 목소리를 담았던 동성애자 단체들이 드디어 연대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남성 동성애자 인권모임인 ‘친구사이’, 여성 동성애자 모임끼리끼리’, 그리고 새로운 동성애 문화를 열어가는 ‘버디’ 등 전국 27개 동성애 단체들이 5월 31일 세종대에 모여 ‘한국 동성애자 협의회’ (가칭)을 결성하였습니다. 아직 정확한 활동과 모임의 명칭이 결정되지 않았지만 전국동성애자단체들의 대표들이 모여 서로의 안부를 묻고 얼굴을 확인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문제점과 동성애자 인권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모두 박수를⋯

—『퀴어씨네뉴스』 2호, 「HOMO OFFICE」,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