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2022...
남자
무작위 순서

1994년 발행한 『초동회 소식지』 이후, 한국의 퀴어(비연속/연속)간행물의 문장을 수집하고 연결하는 공간입니다. 발견한 문장을 보내주세요.

솔직히 창간호 모델로 기용하면서 내심 망설였다. 소위 역사적인 우리나라 최초의 동성애 전문지의 첫 호에 양성애자를 쓴다는 것에 독자들이 실망하지 않을까 걱정도 되고. 그러나 그녀가 양성애자라고 해서 레즈비언이 아니라고 말하기도 역시 어려웠다. 그녀가 나와 달리 남자에게도 연정을 느낀다지만 나와 똑같이 여자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마음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성애자 인권운동에 누구보다도 열심이다. 그녀의 양성애 성향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그녀를 레즈비언이라는 테두리에서 제외시켜야 할 아무런 이유도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버디』 12호, 「내가 바이라는데 왜 놀라지?」, 한채윤, 1999

게이들에게는 사우나탕도 있고 극장도 있다. 게이바레즈비언바의 수배이다. 게이 커플은 최상의 커플이라 한다. 이 사회남자들이 훨 을 많이 버는 사회이고 애도 없는 게이 커플은 그 많은 현금 빵빵한 커플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보아도 게이들을 타겟으로 내놓은 상품들이 참 많다. 그들을 위한 마케팅도 있다. 그러나 못버는 여자 둘이서 있는 레즈비언 커플은 최악의 커플이라 한다. 하핫. 물론 난 여기에 안티를 건다. 사실 남자 혼자 벌고 애 낳고 여자는 집안일만 하는 이성애 커플보다는 레즈비언 커플이 훨 낫다고. 이것은 비단 문제 뿐만이 아니다.

—『니아까』 8호, 「레즈비언은 부르조아만 있는가?」, 깨트펑, 1998

좀 돌리지 말고 물어봤어야 했다. 레즈비언들이 페미니스트들에게 너희는 남자랑 싸운다는 사람들이 어떻게 적과의 동침을 할 수 있냐고 물었어야 했고, 페미니스트들은 레즈비언들에게 한 남자도 바꾸지 못하면서 어떻게 너희들의 사랑이 급진적이라고 할 수 있냐고 물었어야 했다.

—『또다른 세상』 5호, 「다이크소녀, 페미니즘을 만나다」, 1997

보도 위를 혼자 걷는 남자가 낯설게 보일 만큼, 연인끼리의 팔짱끼기와 마주잡은 손들이 주저없이 자연스러운 그린위치빌리지. 내내 질투로 이글거리던 한국 토종 게이의 토라진 눈가에도 슬며시, 봄날의 기운처럼 웃음이 번져나오게 하는 게이들의 활기찬 오후 산책⋯. 그래도 그들은 1970년대 바로 그곳에서, 그리고 99년 호모포비아에게 희생당한 어느 게이의 장례식에도 두 주먹 불끈 쥔 채 자유를 위해 싸워야 했다. 그들의 자유자유를 위한 그들의 투쟁에서 비롯되었다는 너무도 뻔한 이치를, 눈감을 수 없이 자명한 그 깨달음을 그린위치 빌리지의 산책길에서 배운다.

—『친구사이1999년 5월호, 「이희일의 뉴욕기행」, 이송희일, 1999

성소수자를 한 번에 구별해낼 만한 근거를 찾지 못한 그들은 더욱 더 불안해져서 조금이라도 규범에서 벗어날라치면 의심을 하고 추궁한다. “왜 결혼안하니?” “왜 화장을 안하고 치마를 안입니?” “왜 머리를 기르지 않니?” ⋯ 남성중심적, 이성애중심적 사회에서 ‘아버지’의 요구대로 살지 않는 여성들은 훈계와 교정의 대상이 된다. 이런 와중에 만약 그녀가 성소수자였다면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는다. 사회여성성소수자가 ‘남자 맛을 못봐서’ 그렇게 되었다면서 그녀에게 사기, 협박, (성)폭력 등의 극단적인 ‘남자 맛’을 보인다. 그리고 사회는 이러한 폭력을 모른척 함으로써 용인한다.

—『끼리끼리이야기』 21호, 「우린, ‘아직’ 살아있어요」, 김나인, 2003

오늘 하루 아르바이트루 일당 5마넌에 일본고딩 가이드를 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남자아이들을 6명을 데리구 다녔었는데⋯ 명동에서 그 아이들이 나보고 “레즈⋯? 레즈⋯? 아나타 레즈??이러는 것이다. 흠짓⋯ 아니 이것들이 그걸 어떻게 알았지?하구 무지 놀랐다. 티나게 행동한 거 하나두 없었구만⋯ 그래서 왜 그런 생각을 하냐구 했드만⋯ 내가 같이 알바하던 여자애하구 팔짱을 끼구 걸어다녔기 땜에 레즈라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에선 친구들끼리 이러구 다니는 거 보통이라구, 짧은 일본어루 열심히 설명해 줬다.

—『또하나의 사랑』 10호, 「일본 아이들이 나보고 레즈냐구⋯」, 1998

또사모에서 게이들을 알게되면서 느낀 것이 게이들이 보통의 남자들보다 훨씬 낫다는 점이었다. 일반 남자들같은 남성권위주의적인 사고가 없어서일 것이다. 하지만⋯ 쉽게 생각하고 즐긴다기 보다는 자포자기적 인생을 산다거나⋯ 성욕을 콘트롤 할수 없는 사람인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또하나의 사랑』 8호, 「게이가 알고싶은 레즈비언, 레즈비언이 알고싶은 게이」, 1997

홍콩에 가보니까 gay bar가 많더라고요, 홍콩만 해도 굉장히 자유로운데⋯!!!~~~ 나같이 김종서처럼 머리 긴 남자가 지나가도 이상하다는 듯 쳐다보는 사람이 거리에 하나도 없고⋯

—『열린마음』 2호, 「벽을 허물고」, 1996

그러니까 저는 페미니스트거든요. 그리고 게이는 당연히 페미니스트가 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단톡방이나 다른 모임에서 만난 친구들은 안 그런 친구들이 많은 거예요. 자기는 남자를 좋아하는 남자라는 이유만으로 여성의 권리에 대해서 완전 무관심하고, 그런 것들이 어떻게 나의 권리나 인권과도 연결이 되어 있는지 잘 이해를 못 하고요. (⋯) 그리고 동갑 단톡방이나 같은 직종 단톡방 사람들끼리 만나도 우리는 같은 인생을 사는 동료들이라는 느낌보다는, 만 마시고 플러팅의 목적만 있고⋯ 이런 것들이 부정적으로 느껴질 때 지보이스를 나와봤어요.

—『보릿자루 산책하기창간호, 「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