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2022...
마음
무작위 순서

1994년 발행한 『초동회 소식지』 이후, 한국의 퀴어(비연속/연속)간행물의 문장을 수집하고 연결하는 공간입니다. 발견한 문장을 보내주세요.

솔직히 창간호 모델로 기용하면서 내심 망설였다. 소위 역사적인 우리나라 최초의 동성애 전문지의 첫 호에 양성애자를 쓴다는 것에 독자들이 실망하지 않을까 걱정도 되고. 그러나 그녀가 양성애자라고 해서 레즈비언이 아니라고 말하기도 역시 어려웠다. 그녀가 나와 달리 남자에게도 연정을 느낀다지만 나와 똑같이 여자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마음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성애자 인권운동에 누구보다도 열심이다. 그녀의 양성애 성향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그녀를 레즈비언이라는 테두리에서 제외시켜야 할 아무런 이유도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버디』 12호, 「내가 바이라는데 왜 놀라지?」, 한채윤, 1999

세상이 삐뚤어졌으니 올바르게 산다는 건 세상의 기준에서 벗어나 삐뚤삐뚤하게 사는 것일지도 몰라요. 그렇게 삐뚤어진 마음으로 이렇게 삐딱삐딱하게 쓰여지고만 창간호! 아 – 뭔가⋯ 그윽하구나. 아, 참고로 여긴 뒷면이라능.

—『완전변태창간호, 뒤표지, 「가운데」, 2008

11월 23일, 드디어 학수고대하던 정기모임이 있는 날. 사람들을 만난다는 설렘에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범일동에 위치한 텔레폰이라는 곳의 문을 열었지만, 막상 나를 맞아주는 건 썰렁한 분위기였다. 그래도 “룰루랄라~~” 히죽거리며 “송지나의 취재파일”을 봤다. 4명의 여성들이 얼굴을 공개하고 자신사랑에 관해 이야기를 하는, 그들이 TV라는 파급효과가 큰 매체에 COMING OUT(커밍아웃-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생각용기가 필요했을까? 방송이 나간 후 겪었을 부당한 대우와 주위의 시선에 얼마나 힘들었을까? 혼자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동안 한두 명씩 사람들이 들어섰다.

—『같은마음』 7호, 「첫번째 만남」, 낮은 목소리, 1998

음⋯. 이반 세계를 알고 몇 번 이태원을 다녀왔지만 사실, 아직도 그곳에 대해 뭐라고 딱히 하고 싶은 말은 없다. 갈 때마다 이태원이 내게 주는 느낌은 달랐다. 처음엔 나와는 너무 동떨어진 세계 같은 느낌이 들었고 다음엔 차차 호기심 어린 곳이 되었고, 때때론 이반세계의 한계를 보여 주는 것 같은 회의를 들게 하였고, 어쨌든 지금은 심각하게 생각 않기로 했다. 일반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마음대로 떠들고, 마시고 도 부려볼 수 있는 장소가 내게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너와나창간호, 「필이가 이태원에 간 까닭은?」, 유필, 1999

레스보스! 이제 서울에 첫발을 내딛은 첫 레즈비언 카페.. 그것은 레즈비언 역사에 있어서 중대한 출발을 의미한다. 이제 한국에도 레즈비언들이 마음껏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장이 생겼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매월 둘째 주 토요일에 이벤트를 열겠다는 레스보스! 우리가 그 미래를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또다른 세상』 2호, 「레스보스, 레즈비언문화공간 레스보스를 찾아가다」, 강모선, 1996

12월 16일에는 끼리끼리후원하는 유일한 타단체인 밴디트의 송년회가 열렸습니다. 끼리끼리에서 준비한 예쁜 뱃지를 감사의 마음함께 전달하였습니다.

—『끼리끼리이야기』 13호, 「끼리소식/와우!, 끼리에 이런 일이~」, 2001

1997년, 한국 동성애 인권운동역사가 바뀐다. 친구사이사무실을 이전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친구사이의 숙원사업이던 사무실 이전이 드디어 여러 단체와 고마우신 분들의 따뜻한 관심과 지원 아래 이루어졌습니다. 새로운 터전에서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한국 남성 동성애자인권 신장을 위하여 더욱 전진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도움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친구사이』 14호, 뒤표지, 1997

현재 서울지역 대학 동성애자 인권 모임은 저희 모임과 서울대 〈마음001〉, 연대 〈컴투게더〉, 이렇게 세 모임입니다. 물론 앞으로도 계속 늘어나겠지요. 격주의 연합모임을 통해 타대생들과의 만남의 자리도 마련됩니다. 어두운 혼자만의 밀실에서 고민하느니 과감하게 맞부딪혀보는 것이 지혜로운 인 것 같습니다. 저희는 동성애자 여러분을 어제나 열린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창간호,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람’에 대해 말하라면..」, 1996

난 무척이나 소심하다. 타임라인에는 온통 한진 이야기로 채워졌고 내내 트위터를 보기만 하다가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일이라도 하자는 마음으로 퀴어버스를 따라 나섰다. 부산이 고향이라는 마레연 주민의 노래, 지보이스의 노래와 율동을 따라하며 45명을 꽉 채운 퀴어버스는 부산을 향했다.

—『레인보우링』 season3 3호, 「부산으로 간 퀴어버스」, 칼로, 2001

나의 경우엔 커밍아웃에 그리 거창한 목적이 있지 않다. 그저, 주위의 사람들과 나의 더 많은 것을 공유했으면, 그래서 그들이 나를 조금이라도 더 많이 알아줬으면 하는 순수한 마음(?)의 표현이랄까.

—『QueerFly』 6호, 「커밍아웃」, 20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