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2022...
2003
무작위 순서

1994년 발행한 『초동회 소식지』 이후, 한국의 퀴어(비연속/연속)간행물의 문장을 수집하고 연결하는 공간입니다. 발견한 문장을 보내주세요.

전국적으로 153이라는 서비스가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다른 지역 153에도 들어가는 거예요. “저는 광주에 사는 누구누구인데요, 대전에도 많이 계시군요” 하면서 메시지를 남기는 거죠. 그렇게 교류시작되었고 각 지역 대표들끼리 모여서 “우리 전국 MT도 하게 됐죠. 그때가 아마 1997년 12월 달쯤이었을 거예요”

—『버디』 24호, 「빛동인광주 153전화사서함 모임역사」, 〈버디〉편집위원, 2003

세상 모든 것 다 없어도 좋으니 네가 내 곁에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 한 여성이 한 여성에게 절절하게 드러낸 고백 아닌가

—『버디』 24호, 「아! 눈물 나는 레즈비언 사극, 대장금」, 한채윤, 2003

2000년 8월 26일 비오는 대학로를 가로질러 200여 명의 이반들이 짤막한 거리를 행진할 때도, 그 이듬해 2001년 9월 홍대정문에서 출발한 소규모의 행렬이 홍대 정문 앞을 벗어나지 못한 체 곧바로 유턴을 해야하던 순간에도, 그리고 또 그 이듬해 2002년 월드컵이 막 팡파르를 울리기 시작하던 그때 6월 8일, 이태원에서 제법 퍼레이드를 모양새를 갖추며 행진할 때도 세상 사람들은 놀라고야 말았을 것이다. “아니 우리나라에도 저런 동성연애자들이 행진을 하다니⋯”

—『보릿자루』 42호, 「조선의 호모종로를 주름잡던 날」, 김재원, 2003

“이해가 안되네요, 퍼레이드참여사람들이 마스크를 끼고 있고, 선글라스를 낀 나라는 한국 뿐일거라고 생각해요. 퍼레이드는 일종의 커밍아웃으로 통하는데 한국은 아닌가봐요” 38세의 일본인 독립영화 감독 고히치씨의 말이다.

—『보릿자루』 42호, 「조선의 호모종로를 주름잡던 날」, 김재원, 2003

故 육우당 유서에서. 이 세상은 아비규환인 것 같습니다. , 담배, 수면제, 파운데이션, 녹차, 묵주 이 여섯 가지가 제 유일한 친구입니다. 그래서 육우당(六友堂)이죠. 후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할지 의문입니다.

—『LGBT PAPER2003년 6-7월호, 앞표지, 2003

동성애자 인권연대를 알게 된 건 친구의 권유에서였다. 이미 동인련과 친분이 있던 친구는 급하게 포스터를 만들 사람이 필요하다고 연락을 했고, 동성애자 인권연대란 단체가 있다는 말만 들어도 가슴이 뛰던 나는 조심스레 승낙을 하고 캠프 포스터를 만들면서 동성애자 인권연대와의 인연을 시작하게 되었다. (⋯) 지금 동인련은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들의 작은 관심을 필요로 하고 있다. 더 이상 무엇을 망설이는가⋯

—『LGBT PAPER2003년 10-11월호, 「연재, 인권운동과 나」, 강태성, 2003

성소수자를 한 번에 구별해낼 만한 근거를 찾지 못한 그들은 더욱 더 불안해져서 조금이라도 규범에서 벗어날라치면 의심을 하고 추궁한다. “왜 결혼안하니?” “왜 화장을 안하고 치마를 안입니?” “왜 머리를 기르지 않니?” ⋯ 남성중심적, 이성애중심적 사회에서 ‘아버지’의 요구대로 살지 않는 여성들은 훈계와 교정의 대상이 된다. 이런 와중에 만약 그녀가 성소수자였다면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는다. 사회여성성소수자가 ‘남자 맛을 못봐서’ 그렇게 되었다면서 그녀에게 사기, 협박, (성)폭력 등의 극단적인 ‘남자 맛’을 보인다. 그리고 사회는 이러한 폭력을 모른척 함으로써 용인한다.

—『끼리끼리이야기』 21호, 「우린, ‘아직’ 살아있어요」, 김나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