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2022...
호모
무작위 순서

1994년 발행한 『초동회 소식지』 이후, 한국의 퀴어(비연속/연속)간행물의 문장을 수집하고 연결하는 공간입니다. 발견한 문장을 보내주세요.

2000년 8월 26일 비오는 대학로를 가로질러 200여 명의 이반들이 짤막한 거리를 행진할 때도, 그 이듬해 2001년 9월 홍대정문에서 출발한 소규모의 행렬이 홍대 정문 앞을 벗어나지 못한 체 곧바로 유턴을 해야하던 순간에도, 그리고 또 그 이듬해 2002년 월드컵이 막 팡파르를 울리기 시작하던 그때 6월 8일, 이태원에서 제법 퍼레이드를 모양새를 갖추며 행진할 때도 세상 사람들은 놀라고야 말았을 것이다. “아니 우리나라에도 저런 동성연애자들이 행진을 하다니⋯”

—『보릿자루』 42호, 「조선의 호모종로를 주름잡던 날」, 김재원, 2003

“이해가 안되네요, 퍼레이드참여사람들이 마스크를 끼고 있고, 선글라스를 낀 나라는 한국 뿐일거라고 생각해요. 퍼레이드는 일종의 커밍아웃으로 통하는데 한국은 아닌가봐요” 38세의 일본인 독립영화 감독 고히치씨의 말이다.

—『보릿자루』 42호, 「조선의 호모종로를 주름잡던 날」, 김재원, 2003

“여보세요?” 내가 전화를 걸었을 때는 분명히 호출을 했었을 그 장본인은 전화를 받지 않고 엉뚱한 꼬마 아이의 목소리만 들렸다. ‘아뿔싸!’ 가만히 수화기를 내려놓았어야 옳은 일이건만, 나는 실수를 하고 말았다. 이 꼬마의 아빠가 내게 호출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혹시 아빠 계세요?”라고 물었고, “네, 목사님요? 우리 아빠 목사님인데요” 그 꼬마는 영문도 모른 채 그렇게 대답을 또박또박했다. 엉겁결에 수화기를 내려놓고 난 뒤 밀려드는 그 후회스러움⋯ 그리고⋯ 예의 그⋯ 불쾌감⋯.

—『우리누리』 봄호, 「혹시 목사님도 호모세요?」, 보릿자루, 1998